본문 바로가기
투자 정리

저평가 우량주 제이씨케미칼 이렇게까지 저평가 받을 이유가 있을까?

by Koobh 2022. 9. 19.
반응형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ttHVV9F7TKQ 

촬영일 : 21.12.21.

 

[제이씨케미칼]

- 동사는 2006년 3월 24일에 설립되었으며,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인 바이오디젤(BD100), 바이오중유를 제조하여 정유사와 발전사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.

- 바이오디젤 제조 업계 최초로 2012년 10월에 인도네시아 동부 칼리만탄에 위치한 오일팜 플랜테이션 농장을 인수함.

- 동사의 매출은 국내 정유사 및 발전사를 통한 내수시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, 2013년 7월에 미국환경보호청에 등록하여 여러 차례 수출 진행 

 

[기대 포인트]

1. 바이오연료의 전방 시장이 확대

- 연료 소비 산업이 기존 디젤 차량(바이오디젤)과 발전(바이오중유)에서 바이오선박유까지 확장될 것

- 탄소중립위원회 '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세부 산출근거'에 따르면

   -> 전체 해운 에너지 소비량의 30%에 바이오연료 및 LNG 연료 확대

   -> 전체 항공유 소비량의 30%에 바이오항공유 확대 적용할 계획

      -> 바이오선박유 2022년 도입을 가정할 경우 '30년 동사의 바이오선박유 매출은 최소 500억에 달할 전망

- 디젤 차량이 매년 2% 감소하더라도 '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(NDC) 상향안'의 경유차 대상 바이오디젤 혼합률 상향(3->8%) 감안시 2030년까지 동사의 바이오디젤 연평균 성장률은 7.3%에 달할 것으로 추정

   -> 보수적인 추정치를 적용해도 동사 바이오디젤 사업 성장에는 무리가 없음

 

- 바이오디젤 혼합의무비율이 꾸준히 성장

- 바이오선박유 가파른 성장 예상

- 선박유, 항공유 시작 개화할 경우 전방 시장 압도적으로 커질 것

   -> 현재 주력매출은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중유(발전용) 판매에서 발생

   -> 향후 투자 포인트는 선박유, 항공유 시장의 바이오연료 공급 시점

 

[장기성장에 대한 의심?]

- 증권사 의견 : 장기 성장에 대해서는 우려할 필요 X / 오히려 바이오선 박유, 항공유 채택에 따른 기업 가치의 레벨업을 기대할 시점이라 판단

- 단기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 : 울산 기력 4,5,6호기의 폐쇄, 그러나 영향은 영업이익 기준 30억을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

 

[개인 의견]

- 바이오디젤, 팜유가 오히려 환경을 망치기도 하는데 미래에 어떻게 될지?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