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투자 정리

3-1강. 포트폴리오 관리의 A~Z 는 아니고.. D~P 정도..

by Koobh 2022. 9. 18.
반응형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dptQIzszvA 

촬영일 : 20.08.26.

 

[포트폴리오 비중]

- 집중투자 7개

- 초보자는 분산투자를 하면서 종목을 점점 줄이거나, 집중투자를 하면서(3개부터) 점점 종목을 늘리기

- 종목이 많아지면 분산투자가 되고, 더 많아지면 (미국, 글로벌)INDEX 추종이 더 낳음

- 더 분산을 하려면 영구포트, 60/40 등을 하기

 

- 자산을 불리는데에 있어서 (자본 * 수익률 * 시간 / 변동성)이 중요

- 변동성을 줄이고자 안정적인 분산을 하는 것

 

- 그러나, 처음부터 분산을 하면 종목을 줄일 때 멘탈이 흔들릴 수 있음

- 3개부터 시작하면 7개로 점점 늘릴 때 마음이 편해짐

 

- 수익률의 변동성을 버틸 수 있는 멘탈이 있어야 함

- 주말에만 한 번 수익률을 확인해도 상관없어야함

 

- 처음 넣는 돈이 유의미해야 함(0강에서 말한 것 처럼 천만원을 넣는다면, 그 천만원이 나에게 영향이 있으만한 액수여야 함)

- 집중투자를 하며 수익률에 내성이 생겨야 함

- 망할 확률을 최대한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

 

[최종 포트폴리오]

- 집중투자 5~10개 80~90% / 기타 10~20%

   -> 모두 다른 산업이어야 함(IT를 같은 산업으로 보지 않기, 아마존(이커머스)과 구글(플랫폼)은 다른 산업)

   -> 1개의 비중이 7~15%

 

[결론]

1. 흙수저 : 집중투자 3개 100%

2. 금수저 : 집중투자 3개 30% + VT 30% + TIP 20% + IAU 20%

혹은 1과 2사이 어딘가에서 시작해도 괜찮음

3. 분산투자 X

   -> 개인이 분산투자 한다면 리서치의 깊이가 얕아짐

 

 

리서치 하는 방법

- 아는 산업부터 투자하기

   -> 리서치를 어디까지 들어가야 이해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

 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