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투자 정리/내일은 투자왕 - 김단테

이시국에 채권투자가 말이 되는가? ( ft. 레이달리오 )

by Koobh 2022. 6. 11.
반응형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VAfap05DFI 

촬영일: 20.08.22

 

 

브리지워터의 리포트 발간

[리포트의 내용]

A. 제로금리 시대와 채권투자

B. 3가지 미래 시나리오

C. 지역적 분산투자 필요

 

[A. 제로금리 시대와 채권투자]

-명목 채권(채권에 명시된 이자만 지급)은 별로

-단기금리 하락 시 장기금리 하락

-채권으로 수익을 보는 법: 금리 인하

-현재 금리를 더 인하하기가 힘듦

-제로금리 시대 MP3(통화정책 3단계): 금리가 낮아서 중앙은행이 할 수 있는 정책에 한계가 옴

-정부가 재정정책을 통해서 불황을 해결해야 함

*브리지워터 투자 원칙: 장기적으로 수익이 나는 자산을 선택, 미래 시나리오에 맞춰서 분산투자

 

[B. 3가지 미래 시나리오]

-성장을 위해 돈을 푸는데...

1. 성장 x(스태그네이션), 물가 상승(인플레이션)=스태그플레이션

-인플레이션 자산 성과 좋음(원자재, 금, 물가연동채)

-주식 성과 안 좋음

-약한 성장 높은 물가 상승

2. 성장 시작(Successful Reflation)

-모든 자산 성과 좋음

-투입된 돈이 성장에 기여

-부채 감소(성장을 통해 돈을 더 많이 벌어서 부채를 갚기 때문)

3. 부족한 부양책

-불충분한 재정정책

-일본형 장기 불황

-모든 자산 다 같이 하락, 현금이 최고(명목 채권도 좋음)

-베타 투자의 가장 큰 리스크

 

-3의 가능성이 적은 이유

-정책 입안자들이 의지기 있어 보이고 갈 때까지 갈 듯

-역사적으로 봤을 때 가능성 낮음

-브리지워터는 1, 2의 가능성을 높게 침

 

[포트폴리오 비교]

-60(주식)/40(명목 채권) vs Balanced Portfolio (60/40에서 명목 채권 대신 물가연동채 + 금을 넣고 비율을 조정)

-1,2,3 시나리오에서 B/P가 수익률이 더 좋았고, 유일하게 디플레이션 공황에 왔을 경우 60/40아 더 좋았음

 

(물가연동채와 금이 좋은 이유)

-명목금리 제로가 바닥 / 실질금리는 바닥이 없음(실질금리=명목금리 - 물가)

-물가가 오를 때 같이 오름

-그중에서도 유동성이 가장 좋음

-괴리율이 낮고 편안한 자산

 

[C. 지역적 분산투자 필요]

-현재 3극의 세상(미국, 유럽, 중국(아시아))

-미국: 달러(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화)

-유럽: 투자를 많이 함(자본수출국)

-중국: 성장을 견인하는 곳

-경제 블록별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자산 가격이 다르게 움직일 수 있음

-코로나 대응도 영향(아시아 Good, 유럽 SoSo, 미국 Bad)

-미중 갈등 커지며 세계화->반세계화 트렌드

-각각의 국가가 더 따로 놀 수 있음

-미국에만 투자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음

-10년 단위로 봤을 때 어떤 국가가 잘 나갈지 알 수 없음

 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