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투자 정리/할 수 있다! 알고 투자(강환국)

377. DAA 전략, 복리 22%, MDD 13%가 실화인가!

by Koobh 2022. 6. 3.
반응형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2cNkblOxnFQ 

 

[VAA 전략]

-Wouter Keller의 전략

-공격 자산: SPY(미국 주식), VEA(선진국 주식), VWO(개발도상국 주식), AGG(미국 잡채권)

-수비 자산: SHY(미국 단기 국채), IEF(미국 중기 국채), LQD(미국 회사채)

-상대 모멘텀: 4개 공격 자산 중 최근 가장 잘 나가는 1개 자산을 삼

-절대 모멘텀: 4개 공격 자산 중 하나라도 최근 수익이 (-) 면 수비 자산으로

-공격 자산을 안 사면 3개 수비 자산 중 최근 가장 잘 나간 자산을 삼

-최근의 정의: (최근 1개월 수익)*12 + (최근 3개월 수익)*4 + (최근 6개월 수익)*2 + (최근 12개월 수익)*1

-월별 리밸런싱 필요

-단점: 수비 자산에 머무는 구간이 거의 60%, 저금리 환경에서 약함

 

[DAA 전략 최종]

-수비 자산으로 가는 기준을 바꿔보자!(카나리아 자산군, 이 자산군의 수익이 안 좋으면 다음 달 주식이 안 좋음)

-카나리아 자산군: VWO(개발도상국 주식) 및 BND(미국 잡채권)

-1-3-6-12 모멘텀으로 봤을 때

-두 자산 모두가 (+): 공격형 자산 100%

-아니면: 수비형 자산 100%

 

-공격 자산: SPY(S&P 500), IWM(러셀 2000), QQQ(NASDAQ), VGK(유럽 주식), EWJ(일본 주식), VWO(개도국 주식), VNQ(미국 리츠), GSG(원자재), GLD(금), TLT(미국 장기채), HYG(하이일드 채권), LQD(회사채)

-수비 자산: SHV(초단기 국채), IEF(미국 중기 국채), UST(미국 중기채 레버리지)

-상대 모멘텀: 12개 공격 자산 중 최근 가장 잘 나가는 2개 자산을 삼

-공격 자산을 안 사면 3개 수비 자산 중 최근 가장 잘 나간 자산을 삼

-월별 리밸런싱 필요

-결과: 복리 22%, MDD 13%

 

카나리아 자산군 이유(예상)

-BND 부진-> 금리 인상-> 주식시장 악영향

-VWO 부진-> 달러 강세-> 선진국 주식 하락

 

-과최적화 논란이 있을 수 있음

반응형

댓글